2008년 8월 30일 토요일

Professional Engineer-2

지난번에는 한국, 캐나다와 미국에서 Professional Engineer가 되기위한 기본조건에 대해서 비교를 해 보았다.
이번에는 캐나다에서도 BC주에서 Engineer가 되기 위한 조건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한다. 캐나다는 각지방에서 규정한 제반 규정에 의해 엔지니어 자격을 부여하고 있다. 거의 모든 주가 비슷한 자격조건을 요구하나 지방마다 약간의 차이가 있다.
BC주는 APEGBC에서 자격을 관리하며, 엔지니어로써 활동할수 있는 자격증 종류는 다음과 같다.
1. Professional Engineer(P.Eng.): 학력과 경력조건을 만족하고, 전문가로써의 책임을 갖고 엔지니어링 업무를 수행할수 있는 자. 협회 참정권과 투표권을 가지고 있음.
2. Inter-Association Mobility Engineers: 캐나다내 타지방에서 EIT나 P.Eng. 자격을 소지한 자로 지원서랑 자격증 원본(또는 공증 복사본)을 제출하면 BC에서 엔지니어로 활동 할수 있음.
3. Engineer-in-Training(EIT): 학력조건을 만족하고 P.Eng.의 감독하에서 수련중인 엔지니어로 Engineer라는 타이틀을 사용할수 없음. 협회 참정권과 투표권 없음.
4. Provisional Member: 학력조건을 만족하고 캐나다를 제외한 타국에서 4년 이상의 경력자로 P.Eng.가 되기위해서는 캐나다내에서 P.Eng.의 감독하에서 1년이상의 경력이 필요하며, Engineer라는 타이틀을 사용할수 있음. 협회 참정권과 투표권 없음.
5. Non-Resident Licensee.: 학력과 경력을 모두 만족하지만, 캐나다 국적 또는 영주권을 취득하지 못한 자. 모든 범위에서 P.Eng.와 동등하나 협회 참정권과 투표권 없음.
6. Engineering Licencee/Eng.L.: Limited Licence라고 하며, 특정분야 경력자로 엔지니어링 학위는 아니지만 전무가적인 책임을 가지고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자격이 필요한자.

위에서 6가지 종류의 자격증에 대해서 간단하게 나열 해 보았다. BC에서 한국인으로써 자격을 취득하려는 종목은 대부분 P.Eng., EIT, Provisional Member와 Non-Resident Licence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그러면 어떻게 이런 자격을 취득하게 될까? 매우 쉽기도 하고 어렵기도 하다.
먼저 P.Eng.가 되기 위해서는 소정양식의 신청서, 학위관련서류 및 경력관련 사항 서류를 제출한 후, 협회의 학력인정에 대한 심사를 하고 다음에 경력관련 심사를 한다. 이를 만족하면 면접에 초대 될수도 있으며, 이 기간중 Law & Ethics(PPE, 엔지니어 제반 규정과 윤리강령)에 대한 4지선다 시험과 논술시험(2009년 7월 APEGBC는 영어권이 외국기술자로 영어권 학력을 소지하지 않은 자들은 논술시험 대신 Toefl(IBT:113, CBT:263, and PBT:625), CanTest(4.0) 또는 VCC에서 소정의 영어교육을 이수해야 함을 공포했다.)을 보게 된다. 여기 과정까지 패스하면 곧 자격을 취득하게 된다. EIT는 위의 절차에서 학력심사만 받고 Law & Ethics 시험을 패스하면 EIT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P.Eng.의 감독하에서 활동할수 있다. Provisional Member와 Non-Resident Licence는 P.Eng.절차와 거의 비슷하다.
그러면 다음편에 첫번째 관문인 학력 인정에 대해서 알아보기로 한다.

대한국인 이희용 mailto:이희david.hy.lee@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