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802.1.2.1 표준치수
건조재는 KS에 따른 수분 함량과 대패질 된(dressed) 목재이고 생재는 건조되지 않고 대패질된 목재이다. KBC2009는 위의 표에서 치수에 대해서 구조재별로 구분해 놓았다. 기타사항은 이전글에서 설명하였으므로 생략하고 잠시 목조의 용어와 간격에 대해서 간단히 언급하고자 한다. 현지 북미에서는 38x89(1.5"x3.5":실제치수)를 2x4(공칭치수)로 표기하고 two by four로 읽는다. 따라서 38x140, 38x235는 각각 2x6, 2x10으로 불려지며 각각의 목재는 항상 12", 16", 24"의 간격에 따라 시공된다. 그 이유는 합판(plywood or OSB)의 단위 크기가 4'x8'(48"x96")이므로 48과 96인치는 12인치, 16인치, 그리고 24인치로 나누면 나머지 없이 나누어지기 때문에 이를 선호한다. 나중에 자세히 설명하겠지만, 벽체는 주로 위의 간격을 사용하고, 바닥과 지붕은 위의 간격에 19.2"간격도 자주 사용한다.0802.1.2.2 수종구분

KBC에서는 침엽수 구조재의 구분을 위의 표와 같이 구분하고 있다. 필자가 한국의 목재의 날인현황을 파악하지 못해 다음의 분류를 더하고자 한다. 이 분류는 NBCC2005 부록A, Table A-9.3.2.1.(1) A Species Designations and Abbrebiations에 따라 작성되었다.
1) D Fir-L(Douglas Fir-Larch): Douglas Fir(미송: 미서부산), Western Larch(북미서부 낙엽송)
2) Hem-Fir(Hemlock-Fir): Western Hemlock(북미 솔송나무), Amabilis Fir
3) S-P-F(Spruce-Pine-Fir): White Spruce(흰가문비나무), Engelmann Spruce(엥겔만 가문비나무), Black Spruce(검은가문비나무), Red Spruce(붉은가문비나무), Lodgepole Pine(북미 서부산 소나무), Jack Pine(북미 북부 뱅크스 소마무), Alpine Fir, Balsam Fir(발삼전나무)
4) North Species(Northern Species): Any Canadian Softwood covered by the NLGA(National Lumber Grades Athority) Standard Grading Rules. ex) Red Cedar(삼목)
KBC의 분류와 거의 비슷함을 알수 있을 것이다. 일부는 우리말로 뭐라 해야 할지 몰라서 뜻을 적지 못했으나 여러분들이 외국서적을 읽다가 보면 이런 수종구분을 쉽게 이해할수 있을 것이다.
우리나라도 전통목조의 기초와 주춧돌, 기둥, 들보등의 구조형태를 장부이음과 같은 독특한 방법을 이용해 발전되었으나 기준상의 정리가 미흡해서 마음이 아프다. 서구권부터 시작된 목구조 기준은 이제 우리나라의 목조기준에 반영되고 있으므로 외국에서 사용하는 용어를 정확히 이해해야 쉽게 이해할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우리 전통목조를 외국인들에게 이해하기 쉽게 설명할수 있을수 있다고 생각한다. 필자는 친미주의자가 아니다. 그러나 그들을 알고 우리를 알리기 위해 준비하고자 이글을 준비하는 것이다. 부족한 사항이 있으면 알려주기 바란다.
다음글은 수종별 강도와 보정계수들인데 이부분이 너무 길어서 오늘은 여기까지만 하고 쉬려고한다.
그럼 담에 또... ... .
대한국인 이희용(david.hy.lee@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