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11월 22일 토요일

캐나다의 주택설계-2

지난주에는 주택설계에서 간단하게 인허가 관련 구조엔지니어의 역활과 위상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였다. 이번주와 다음주는 필자의 개인사정으로 조금 간단하게 진행하도록 하겠다.

구조재료들은 크게 4가지(철근콘크리트, 철골, 목재, 조적)로 나누어지며 굳이 하나를 더한다면 합성재(철근철골콘크르트)를 언급할수 있다. 한국에서 주택은 주로 콘크리트재료를 사용하고 가끔 목조와 목조와 비슷한 구조형식으로 설계된 경량철골을 이용한 철골식 주택등이 있다. 여기 캐나다에서는 아니 북미가 거의 그럴것이라고 생각하는데 목조가 주며, 약간의 콘크리트, 조적 그리고 경량철골식 주택이 있다. 그렇다면 어느주택을 설명할 것인가? 다 아시겠지만 캐나다의 목조를 설명하려고 한다. 캐나다의 목조와 목조 코드들을 보면 코드가 코드제정 이전부터 사용된 시공방법에 대한 검증을 바탕으로 발전되었다고 볼수 있다. 즉, 코드제정이전 사람들은 여러 시행착오를 거치면서 주택을 건설하였을 것이고, 나름대로 span table 같은 자료들을 만들었을 것이다. 코드제정시 오랜동안 건축된 주택의 시공방법과 시공형식을 고려하고, 검증과 실험을 바탕으로 발전시켜 오늘날의 목구조 코드로 되었을 것이라는게 필자의 사견이다. 이 부분은 조금 이해가 되지 않을 수도 있으나 목구조 코드를 공부하다보면 자연스럽게 느껴지는 부분이다.
한국의 목구조와는 달리 캐나다는 주로 톱질된 sawn lumber를 사용하는데 목재의 종류를 보면 timber, rough lumber, sawn lumber, PSL(Parallel Strand Lumber), LVL(Laminated Veneer Lumber), glulam등을 사용한다. 여기서도 많이 사용되는 것이 sawn lumber이다. 그렇다면 나무의 종류는 주로 Douglas-Fir(D.Fir-L), Spruce Pine Fir(S-P-F), Hem Fir(Hem-F)를 사용하며 여기서도 대새는 S-P-F다. 목재마다 재료별 작용하중별 강도가 틀리며 강도에 따라 S.S(Selected Structure)> No.1> No.2> No.3(stud)로 나누어 진다. 강도구별은 목재에 찍혀 있는 도장을 보고 확인할수 있다. 모든부재는 통재를 잘라서 사용하지만 Stud는 여러목재를 finger joint를 만들어 접착시켜서 사용하므로 육안으로도 구분이 쉽게 된다. 그럼 어떤 목재와 강도를 주택건설에 많이 사용할까? S-P-F No.2와 stud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스팬에 따라 D.Fir-L No.1, No2와 Engineered I joist를 사용하고, 보와 기둥이 큰하중을 필요로 하면 PSL(2.0E: 기둥, 1.8E: 보), LVL을 사용하고 때로는 glulam과 철골을 사용하기도 한다. 여기에 sheathing용 부재(판재)로 plywood와 OSB(Oriented Strand Board)가 있으며, 때로는 plank decking용 부재 또는 일반 sawn lumber를 판재의 역활 대용으로 사용하기도 한다. 간단하게 목재에 대해서 소개를 하였다. 다음주부터는 트러스부터 기초까지 구조적인 측면에 대해서 설명을 하겠다.

대한국인 이희용(david.hy.lee@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