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8년 9월 6일 토요일

Professional Engineer-4

지난 글까지는 P.Eng. 자격을 취득하기 위한 첫번째 관문으로 학력인정에 대해서 알아 보았다. 캐나다에서 엔지니어링 학력이 전무한자로 한국의 학력인정을 받기 위해서는 지난글에서 간단하게 언급했듯이 성적증명서와 교과목 개요(Course Description)와 강의 계획서(Course Syllabus)를 준비해야 한다. 그렇다면 성적증명서를 제외한 두 서류는 어떻게 준비를 해야 할까? 지원서 준비중에 여기에 거의 절반의 시간을 소비하고 경력사항 정리에 거의 절반을 소비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너무 복잡하고 힘든 과정이고 개인적인 사항이라 여기서는 생략하겠다.


그럼 이제 경력사항에 대해서 알아 보기로 하겠다. 지원자는 P.Eng.(PE 또는 기술사)의 감독하에서 4년이상의 경력이 있어야 한다. 여기서 최소한 1년 이상은 캐나다내 경력이 포함되어야 하며, 경력기간중 감독을 해준 최소한 5명의 P.Eng.로부터 협회 소정양식에 의한 Reference Letter를 제출해야 한다. 이것으로 협회는 지원자의 경력과 성품을 심사할수 있다. 또한 지원자가 염두해두어야 할 사항은 각각 지원분야가 틀리겠지만 다음의 분야들은 좀 더 자세한 전문분야 경험을 요구한다.

- Computer Engineering: Computer Engineering Checklist 제출
- Environmental Engineering: Environmental Engineering Checklist를 제출하고, 자세한 경력사항들은 Environmental Engineering Experience Guidelines을 준용해야 함.
- Forest Engineering: 경력사항이 Required Competencies for Application of Theory for Forest Engineering을 만족하고 5년이상의 경력 필요함.
- Integrated Engineering: 경력사항이 Integrated Engineering Criteria를 만족해야 함.
- Marine Engineering: 경력사항 작성시 Marine Engineering Experience Guidelines을 따라야 함.
- Naval Architectural Engineering: 경력사항 작성시 Naval Architectural Engineering Experience Guidelines을 적용해야 함.
- Software Engineering: Software Engineering Checklist를 제출하고, 경력사항은 Software Engineering Experience Guidelines을 따라야 함.
- Structural Engineering: 내진설계 경험과 내진설계관련 학과목 수강 필요.

기타 다른 분야는 이런 규정이 없으므로 경력사항을 프로젝트명, 기간, 업무내용과 사용시간등을 정리하면 된다. 여기까지 심사가 끝나면 지원자가 엔지니어 제반규정과 윤리시험을 합격하였다면 P.Eng.자격을 얻게 된다. 지원자가 캐나다 학위 또는 동등의 인정학력과 캐나다내 경력이 있다면 매우 간단하게 취득할수 있음을 알수 있을 것이다. 그렇지 않으면 학력인정과정(서류준비와 학력인정시험)과 경력사항 정리등 많은 시간을 소비해야 한다. 지원서 준비부터 자격취득까지는 짧게는 6개월에서 길게는 6년이 걸린다. 학력인정시험을 모두 합격해야 하는 기간은 첫 시험과목부터 마지막 시험과목까지 6년의 기간으로 제한 되어 있다.

어느나라나 기술자의 윤리관이 중요하다. 과거의 삼풍사건을 보더라도 엔지니어의 윤리가 없다면 거대한 재앙을 불러 올수 있다는 것을 경험했다. 엔지니어는 공공의 이익과 안녕을 지켜야 한다고 필자는 믿는다. 엔지니어는 일종의 장인정신으로 공공의 이익과 안녕을 위해 때로는 자신을 희생해야 한다. 일례로 새로운 기술을 도입하고, 고객의 이익과 친환경적 기술 적용으로 국가적 자원 절약으로 지구를 환경오염으로부터 지켜야 하는 사명까지 가지게 되었다. 즉 새로운 기술과 친환경적인 기술등을 습득하고 적용하기 위해서는 결국은 엔지니어 자신의 시간을 소비해야 한다는게 필자의 생각이다. 때로는 개인의 물질적, 경제적인 이익도 중요하지만, 공공의 이익과 안녕을 위해 연구와 자기개발을 아끼지 않는 것이 엔지니어로써 가져야할 진정한 윤리관이라고 생각한다.

이제 이것으로 Professional Engineer에 대한 글을 마치겠다. 기타 자세한 질문은 david.hy.lee@gmail.com으로 질의 하기 바란다.

"지원자 여러분의 성공을 기원합니다."

대한국인 이희용 david.hy.lee@gmail.c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